/var/www/html/만든 파일(나는 webhard)/data/cache/ 에서 plugin*를 삭제하면 캐시를 없앨 수 있다.
이제 ownCloud를 설치해서 운영해보자.
설치를 완료했다면 /var/www/html/에 owncloud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httpd를 재시작하고 웹에서 192.168.111.100/owncloud로 접근할 수 있다.
window client에 설치할 때,
여기에 웹 주소에 넣던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설치를 완료하면 이제 동기화가 완료되고 동기화된 폴더에 파일이 추가되면 해당 파일이 클라우드와 다른 컴퓨터의 동기화된 폴더에 자동으로 올라간다. 리눅스에서 설치할 때는 owncloud뿐 아니라, qtwebkt도 설치해야 한다.
웹서버 설정 파일인 httpd.conf 파일을 xe윈도우 상에서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
우선 system-config-httpd를 설치하자.(centos에선 지원 안 해준다.)
그런데, 이렇게 xe윈도우 상에서 편집하는 것은 추천하진 않는다.
이제 소스를 컴파일해서 apm을 설치해보자.
우선 gcc와 gcc-c++를 설치해야 한다. httpd도 삭제하자.
중간에 apr-util을 잘못 옮겨서 apr-util로 다시 넣어줬다.
밑을 따라치자.
원랜 여기서 마지막 줄에; make; make install;도 추가로 넣어서 한 번에 해주어야 한다.
/etc/ld.so.conf를 vi로 수정해서 마지막에
/web/httpd2/lib
/web/httpd2/modules
를 추가해준다. 그리고 ldconfig를 하면 변경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
cp /web/httpd2/bin/apachectl /etc/init.d/httpd2 를 입력해서 시작 스크립트를 복사한다.
/etc/init.d/httpd2를 열고 마지막에 아래 그림처럼 추가해 주자.
이제 chkconfig httpd2 on을 입력하면 부팅할 때마다 실행한다. 이제 httpd2를 재시작해주자.
localhost로 접속했을 때 이렇게 나오면 잘 되는 것이다.
이제 mariadb를 설치해보자.
마지막 줄 의미는 /web/mariadb를 홈으로 두고, 실질적으로 사용은 안 하겠다는 의미이다.mariadb를 초기화 하겠다는 뜻./etc/my.conf 파일에서 mysqld 부분을 찾아, basedir와 datadir 부분을 추가해 준다.이제 mariadb도 항상 적용된다.
이제 php 차례! php의 경우에는 libxml2-devel openssl-devel libjpeg-devel libpng-devel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tar 해준 다음 php 컴파일 하는 옵션. 길다...
가장 주용한 파일은 /web/httpd2/modules/libphp5.so이다. 이걸 위해서 이러한 과정을 거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