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외부에서 어디로 접속하면 어떤 머신의 어떤 포트로 연결할지 매핑해 주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private ip의 경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이러한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머신A, 머신B에 각각 8080포트로 WAS를 열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공유기에서 80포트는 머신A의 8080포트를, 443포트는 머신 B의 8080포트를 포워딩하도록 설정해 놓는다면, 외부에서 80번으로 요청했을 때 A의 WAS에 접속하고 443으로 요청했을 때 B의 WAS에 접속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키워드로는 가상 네트워크 모드가 있다. 가장 보편적인 3가지 NAT, Bridge, Host-Only가 있는데 이 개념들도 알아두면 docker 등 나중에 네트워크 설정할 때 쓸모가 있다.
Bridge : 가상머신이 Host와 같은 네트워크에 존재하게 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가상 NIC가 호스트의 Physical NIC에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출처 : https://co-no.tistory.com/3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빌트인 DHCP 서버를 띄우고, 이 서버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